전운 감도는 팽팽한 긴장국면 속에서도 대화의 물꼬 트나

[검경일보 조성수 기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이후 한반도에 전운이 감도는 등 팽팽한 긴장국면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남북이 개성공단을 놓고 한자리에서 다시 머리를 맞댈 전망이다.

하지만 남북 양측 모두가 통행과 통관, 통신 등 개성공단 활성화를 위한 군사실무회담 개최 장소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북한의 잇단 도발로 남북이 일촉즉발의 위기상황 속에 대치중인 가운데 개성공단의 통행과 통관, 통신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군사실무회담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양측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유엔 안보리는 최근 북한에 대한 제재를 확대·강화하는 내용의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하지만 개최 장소를 놓고 의견차이가 크다.

북측은 개성공단내 남북경협 사무소에서, 우리측은 군사관련 회담인 만큼 중립지대인 판문점에서 개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남북은 회담 개최장소를 놓고 지난 25일 하루 동안 2차례의 통지문을 주고받았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국방부 측 관계자는 검경일보와의 통화에서 “남북 군사실무회담과 관련해 일정과 장소를 북측과 협의 중에 있으며 협의가 끝나는 대로 관련 내용을 언론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대남 통지문을 보낸 북한 측의 주최가 달라진 점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 22일 북한이 군사실무회담을 개최하자는 내용의 대남 통지문을 보내왔을 때는 관례대로 장성급회담 북측 대표 명의였다.

이번의 경우에는 조선인민군 정찰총국 명의의 대남 통지문을 보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정찰총국은 북한이 최근 노동당 소속 작전부와 35호실, 그리고 인민무력부 소속 정찰국을 통합해 확대 개편한 대남 공작기구다.

따라서 이번 조치는 북한 군부가 남북한 당국 간 모든 회담을 총괄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우리측은 판단하고 있다.

북한은 이번에 보내온 통지문에서 남북경협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이 개성공단을 가교로 삼아 팽팽한 긴장국면 속에서도 대화의 물꼬를 트자 미국도 북한과의 소통에 길을 열어 놨다.

미국은 북한이 남북한 간의 군 통신선을 끊은 것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건설적이지 않은 행위라고 지적하면서도 북한과 미국 사이의 소통 채널은 아직 열려 있다고 28일 밝혔다.

북미 간 소통 채널은 클리퍼드 하트 미 6자회담 특사와 한성렬 유엔 주재 북한 차석대사를 중심으로 가동되는 '뉴욕 채널'을 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정책은 명확하며 따라서 북한이 2005년 비핵화 공동성명과 국제 의무를 지켜야 한다는 게 미국 측의 입장이다.

패트릭 벤트렐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미국은 북한과 건설적인 대화 준비가 돼있지만 북한은 공동성명과 국제 의무를 지키고 주변국과 평화롭게 지내며 도발 행동을 삼가야 한다”고 말했다.

미 백악관 역시 ‘도발적 언동’은 북한을 더욱 고립시킬 뿐이라는 입장을 되풀이해서 강조하고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에도 한미 양국이 앞장서 대화의 손길을 내밀자 북한 측도 강대강의 입장에서 다소 누그러져 슬며시 손을 잡을 태세다.

지난 27일 개성공단 출·입경을 지원하는 서해 군 통신선을 차단한 북한은 하루만인 28일 오전 8시께 개성공단 근로자들의 군사분계선 통과는 승인했다.

군 통신선이 아닌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채널을 통해 출입을 허용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날 하루 500여 명씩 모두 1000여 명이 개성공단에 들어가거나 나오고, 750여 명이 북한에 체류할 예정이다.

북한은 개성공단을 통해 연간 8천만 달러, 우리 돈 900억 원 가까운 외화를 벌어들이고 있다.

한마디로 황금알을 낳는 오리 알이다. 그런 만큼 극심한 경제난에 시달리는 북한으로선 절대 포기가 안되는 것이다.

북한이 서해 군 통신선을 차단해 긴장을 끌어 올리면서도 개성공단 출입 자체를 막지 않은 것은 이 때문이다.

북한은 앞서 지난 2009년 3월 9일에도 ‘키 리졸브’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 반발해 서해 군 통신선을 끊은 뒤 12일 만에 복구했다.

당시 북한은 모두 3차례에 걸쳐 5일 동안 우리 근로자와 화물차의 육로 통행을 차단했지만, 나머지 기간에는 개성공단관리위원회 등을 통해 방북을 허가했다.

정부는 그러나 북한의 대남 위협 수위가 어느 때보다 높은 만큼 북측이 언제라도 개성공단 출입을 막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럴 경우 북한에 체류한 우리 근로자가 억류될 수 있기 때문에 서울과 개성 간 비상연락체계를 가동하며 북한 동향을 계속 주시하고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로 사실상 고립된 북한이 한미 양국에서 내민 구원과도 같은 손을 순순히 잡을지 향후 북측의 행보에 전 세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