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경일보 강민성 기자] 현재, 우리나라의 이동전화 가입자 수는 약 5천 5백만 명으로 국민 1인당 한 대 이상의 이동전화를 사용하고 있다.

1960~70년대만 하더라도 전화는 한 대로 온 마을 사람들이 다 함께 사용했던 ‘귀한 물건‘이었고, 교환원이 상대방을 연결해 줄때까지 기다려야 했던 ’느린 기계‘이었다.

이후 통신시설의 확충과 전화자동화 등의 기술 진전으로 1가구 1전화 시대를 거쳐 1인 1전화 시대에 이르고 있다.

안전행정부 국가기록원은 서울~부산 간 장거리 자동전화(DDD, Direct Distance Dialing) 개통일(‘71.3.31)을 맞아, 3월 ‘이달의 기록’ 주제를 ‘장거리 자동전화(DDD) 시대가 열리다!’로 정하고 관련 기록물을 오는 26일부터 홈페이지(www.archives.go.kr)를 통해 서비스한다.

이번에 소개되는 기록물은 동영상 20건, 사진 13건 등 총 33건으로, 1950~80년대 통신시설의 확충, 전화자동화 과정 등을 담고 있다.

1950년대에는 6.25전쟁으로 훼손된 통신시설을 복구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였다.

통신망을 복구하고 근대식 통신시설로 바꾸기 위해 외국 기술자를 초청하기도 했다. 그 결과, 서울 중앙전화국 서국은 자동식 8천 5백 회선을, 대전전화국은 공전식 3천 회선을 복구·개설했다.

1960~70년대에는 경제 성장, 소득 증대에 따라 전화 수요가 급증하면서 통신시설이 확장되었고, 통화 제도 및 방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서울 광화문·동대문·성북·신촌, 부산 초량의 새 회선 개통, 영등포·인천의 자동전화 개통 등 통신시설이 대폭 확충되었다. 특히 지금은 볼 수 없는 전화교환원이 수동으로 전화를 연결하는 모습이 이채롭다.

또한 전국적으로 전화 수요가 늘면서 전화도수제가 도입되고 시외통화 번호가 변경됐다.

아울러, 폭증하는 시외전화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시외통화를 장거리 자동전화 방식으로 전환됐다. 즉, 1971년 서울~부산 간 장거리 자동전화 방식이 개통되면서 전국 전화자동화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1980년대에는 농촌까지도 전화 자동화와 통화권 광역화가 이루어지고, 1천만 전화 회선이 공급돼 1가구 1전화 시대를 맞는 등 통신 선진국으로 발돋움했다.

시외전화 자동화는 1971년 서울~부산 간 DDD 개통을 시작으로 1987년 전국으로 확대·완료되고, 전화가입 회선도 1천만이 넘어서는 등 전화는 생활필수품으로 대중화됐다.

추경균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부장은 “전화의 변천 모습을 담은 옛 기록을 통해, 통신강국으로 성장해 온 과정을 살펴보았으면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